이 책은 신뢰에 관한 책이다. 신뢰란 무엇인가? 신뢰의 사전적 의미는 ‘굳게 믿고 의지함’이다. 그런데 이 책, 저자가 경제학자이다. 사회학자나 심리학자가 아닌 경제학자가 신뢰를 논한다니,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영어단어 ‘trust’는 경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단어에는 신탁은행이라는 뜻도 있고 아이들을 위해 예금하는 신탁기금이라는 뜻도 있다. 회사는 파산하면 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성장의 한계(Limits to Growth)』 저자인 도넬라 메도즈(Donella H. Meadows)는 환경운동의 선구자이자 세계 최고의 시스템 분석가 중 한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급작스럽게 세상을 뜬 이후 2008년 출판된 『Thinking in Systems』는 출간 즉시 시스템 사고 분야의 클래식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에서는 『ESG와 세상을 읽는 시스템 ...
단 하루 동안에도 수백 가지 상품이 흥하고 망한다. 모든 상품은 경쟁에서 살아남은 승리자가 되거나, 시장에서 금세 잊히는 패배자가 되거나 둘 중 하나다. 냉혹하고 치열한 비즈니스라는 전쟁에서 예외는 없다. 이 전쟁에서 반드시 승리하는 비책은 없을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끝까지 살아남는 상품에는 단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바로 ‘카피’에 목숨을 건다는 것이다. 팔리는 상품 뒤에는 반드시 팔리는...
예측 가능한 위기를 뜻하는 ‘회색 코뿔소’로 세계 경제에 반향을 일으킨 미셸 부커가 이번에는 위기에 처한 개인과 기업을 위한 새로운 리스크 전략으로 돌아왔다!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덮쳤을 때, 어떤 이들은 회색 코뿔소를 방치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지만, 어떤 이들은 적극적으로 대처해 새로운 기회를 잡았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 같은 일을 겪어도 왜 누군가는 그것을 위험하다고 생각하...
★★★★★ 뇌과학자 유튜버 장동선, 바이두 안승해 추천 ★★★★★ 더핑크퐁컴퍼니 최시훈, 플래텀 조상래 추천 ★★★★★ 1년 만에 중국 플랫폼 구독자 수 1,400만 명 ★★★★★ 1년 만에 중국 플랫폼 누적 조회 수 16억 중국어를 못하는 유튜버도 중국에서 돈을 벌고 있다고? “만리장성 너머 15억의 거대한 기회를 공략하라!”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인 유튜브가 한국에서는...
이콘 사회과학 ㅇ시리즈, 〈전환〉 미래의 경제, 노동, 사회, 정치, 환경은 어떤 모습일까? 우리는 무한 경쟁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진단하여,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생각의 전환을 가져오다 경제경영 전문 출판사 이콘에서 새로운 시리즈를 선보인다. 〈전환〉 시리즈는 현대 세계 자본주의 시스템에 의문을 던지며 앞으로 다가올 경제, 노동, 사회, 정치,...
NFT는 전 세계에 열풍을 일으켰다. 메타버스의 핵심 기술로 주요 기업과 자본이 이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기본 개념도 어느 정도 익숙한 것이 됐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지켜보는 대중에게는 이러한 의문이 생겼다. 도대체 NFT에 어떤 가치가 있고 이를 이용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일까? 《한 권으로 끝내는 NFT 투자 수업》은 바로 이 질문에 명쾌한 해답을...
★ 무한대 인맥을 연결하는 콜드콜 기술 ★ 100% 원하는 답을 얻어내는 클로징 기술 ‘100세 시대’라는 단어가 당연해진 요즘, 우리는 단순히 오래 살아서 기쁜 게 아니라 그때까지 어떻게 먹고살지를 정해야 한다. 아울러 메타버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술의 발전으로 일상의 변화는 물론 성공과 직업, 삶에 관한 사람들의 시선도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색다른 전략과 전술만 있으면 얼마든지 ...
작은 스타트업이었던 페이스북이 세계 최대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으로 성장 한 계기는 셰릴 샌드버그가 COO(최고 운영 책임자)로 합류하면서부터다. 그녀는 당시 5,600만 달러 적자였던 회사를 4년 만에 매출 37억 달러로 성장시켰다.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그녀가 맡아준 이후 나는 많은 짐을 덜 수 있었고 다른 일에 집중할 수 있었다.”라고 공공연히 말했다. 만일 셰릴 샌...
어느덧 멋진 구호이자 유행어가 된 ESG는 사실 그렇게 만만하고, 장밋빛으로만 볼 게 아니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 불어닥친 ESG 열풍 속에 숨겨진 다양한 위험 신호와 ESG의 실체, 기업과 정치, 사회가 ESG를 다룰 방향성 등 ESG를 냉정하게 바라보아야 한다. ESG는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 선택이다. ESG 경영에선 리스크 대응 차원에서의 소극적 ESG 1.0을 지나, 이제 ...
《부의 로드맵》은 다가올 미래에 대한 실용적인 아이디어들을 소개하고 디지털 기술의 경제적·사회적 효과를 통해 부의 이동을 미리 선점할 수 있는 미래 사회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주요 분야로 직업, 교육 그리고 헬스케어를 꼽았다. 이 세 분야는 우리가 일상생활 혹은 특별한 상황에 놓였을 때, 경제개념, 사회제도 등과 연관이 있다. 빅데이터와 IoT의 세상이 ...
우리나라 2030은 전체 인구의 26%, 1,327만 명. 소비와 트렌드를 주도하는 이들을 ‘MZ세대’로 묶어 부르지만, 실상 비즈니스 현장에서 마주치는 M과 Z는 너무나 다르고 엄연히 다르다. 메타버스, NFT 등 새로운 디지털 문화를 만들고 즐기고 이끌어가는 Z세대(1995~2005년 출생자)는 이미 슈퍼 컨슈머로 부상하며 전 세계 기술과 비즈니스의 판을 쥐락펴락하고 있다. 미지의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