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러스한 철학자, 사색하는 여행자 에릭 와이너가 건네는 인간의 창의력에 관한 유쾌하고 깊이 있는 인문학 공부 천재, 다이어트 천재, 투자 천재, 정치 천재. 우리는 천재 인플레이션의 시대를 살고 있다. 특정 분야에서 남다른 두각을 나타내는 이들에게 찬사와 존경을 보낼 때면 천재라는 단어를 붙여 칭송하곤 한다. 그러나 천재는, 천재라는 말은 현재의 통념에 사로잡혀 그만큼 흔해져버린 건 아닐까...
삶의 마지막 순간을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진지하게 고민한 적은 없더라도 막연히 노년에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리라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생각과 다르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보면 전체 사망자 중 질병 이외의 외부요인에 의해 사망하는 경우가 8.7%를 차지한다. 대략 10명 중 1명이 미처 준비할 시간도 없이, 갑작스레 죽음을 맞이한다는...
최면은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가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찾아냄은 물론 해결해야 할 문제의 답을 찾아주기도 한다. 과거의 최면은 깊은 단계로까지 유도하여 치료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현대로 오며 경최면으로도 얼마든지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누구나 최면의 원리를 익히면 최면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신이 바라는 바를 성공시킬 수 있다. 1권 〈최면바이블〉이 최...
강남의 성형병원 의사라고 해서 전부 전공이 성형의가 아니다. 우리는 이 간단한 사실조차 잘 모르고 있다. 사실은 그만큼 성형에 대해 무지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최고의 대학 최고의 병원에서 성형을 전공하고 강남에서 개업한 전문 성형의사다. 그런 그에게 성형이 얼마나 중요하고, 성형에 대해 애정이 깊을지는 두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런 그에게 있어 성형은 반드시 필요한 ‘치료술’이다. ...
팬데믹은 서구 중심의 세계 질서를 다시 보는 계기가 됐다. 코로나19 이후 유럽의 한계는 여실히 드러났다. 《오래된 유럽》은 인권, 자유, 연대 같은 가치를 내세운 유럽의 민낯은 무엇인지, 지속가능한 한국의 롤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한다. 아울러 변화의 소용돌이 속 한국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을 고민한다.
이젠 한국교육의 절대희망과 행복을 노래하자 교육낙원에서 살자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이 있건만, 우리 한국교육은 그간 국가 발전에 많은 이바지를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고질적인 5대 문제는 미해결로 남아서 우리 국민을 괴롭힌다. 8·15 해방 이후 반세기를 지나 76년이란 세월이 흘러흘러 갔어도, 우리 교육에서 지옥이라는 말은 사라지지 않았고, 지금도 교육문제를 언급할 때마다 ...
들어가기 전에 머리말 1장 생각하기에 관한 진실 한없는 복잡성 | 생각하기? 생각하기란 대체 뭐지? | 인간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우주의 범위 |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연구 | 〈상식〉의 원래 의미 | 〈감각〉의 뜻, 혹은 착각하기의 여러 방식 | 우주로 망명한 자의 관점? | 모든 대상이 사물인 것은 아니다 | 빨간 뚜껑이 실재할까? | 생각하기는 신경 자극의 처리가 아니다 |...
기존 ‘손도사 손금풀이’ 책을 대폭 수정·보완한 증보판. 사람 누구나 가지고 있는 손금의 형태에 따라 각 개인의 타고난 기질·체질·소질발견 그리고 지능·재능·성격 분석과 운(運)을 분류하고 선천운과 후천운 등의 평생운명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풀어쓴 이 책은 상세한 그림과 함께 적절한 명칭 및 해설이 곁들여져 있어 이 책 한 권만으로도 각 개인의 손금의 생김새에 따라 자신의 운명을 본인 스스로...
2021년 가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 94개국에서 1위를 했고, 1억 1,100만 가구가 시청했다. 넷플릭스 사상 최다 시청이자 역대 최고 흥행작이다. CEO 리드 헤이스팅스는 초록색 트레이닝복을 입은 모습을 SNS에 올렸고, 전 세계에 달고나 키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가 열풍이다. BTS, 블랙핑크 등 K팝 신드롬은 어떤가? 이미 빌보드 차트는 ‘K팝의...
지금, 여기, 약동하는 현장 비평 한국문학의 요즘을 말하는 ‘요즘비평들’ “다종다양한 양태의 비평이 장을 형성하고 있는”(이병국, 「서문을 대신하여」) 요즘, 문학과 비평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요즘 비평’을 다룬 『비정기 비평무크지 요즘비평들 1호』가 출간되었다. 한국문학 비평장에서 주목할 만한 주제를 독자에게 소개하고 토론하는 비평그룹 ‘요즘비평포럼’이 2020년에 진행한 세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