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현상에 대한 예리한 진단과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지금 여기를 사는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실천적 대안을 담은 보통 사람들을 위한 실천 인문학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 그동안 여성 비하가 뿌리 깊게 자리 잡은 한국 남자들의 민낯을 파헤쳐온 사회학자 오찬호가 이 책에서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을 키워드 삼아 한국사회의 일상을 분석한다.일상에 만연한 혐오와 폭력, 강...
아이들의 삶을 가꾸고 북돋우는 교육, 말과 글과 삶이 함께 어우러지는 온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김강수 선생님의 교육 산문집.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과 이오덕김수업교육연구소, 강마을산마을배움터 등 여러 활동과 학교 교육을 통해 우리 교육의 현실을 바로 알고 문제점과 한계를 풀어가고자 전국의 선생님들과 나눈 교육 편지를 책으로 펴냈습니다. 학교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우...
NHK ‘100분으로 명저’ 2017년 4월의 책으로 선정!!200만 일본 독자를 사로잡은 인생철학의 명저!!지난 2017년 4월 NHK ‘100분으로 명저’는 일본 최고의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미키 기요시의 저서 《행복을 무기로 싸우는 사람은 쓰러져도 여전히 행복하다》를 이달의 책으로 선정했다. ‘100분으로 명저’는 매달 동서양의 명저 중 하나를 뽑아 한 달 간 100분의 시간을...
융 심리학을 바탕으로 마흔 이후의 삶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왜 마흔이 되면 삶 전체가 흔들리는 듯한 혼란을 겪게 될까? 융학파 정신분석가인 저자 제임스 홀리스는 그 이유를 우리가 진정한 자신에게서 멀어진 채 살아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저자는 마흔의 위기를 ‘중간항로(Middle Passage)’라고 부른다. 이렇게 이름을 붙인 이유...
고전을 읽다 사색에 잠기다 『고전과의 대화』. 고전은 하나의 작은 세계다. 각각의 작은 세계 안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축소시킨, 혹은 어느 한 면을 부각시킨 하나의 독립적인 풍경이 펼쳐진다. 이 고전의 세계들은 수많은 시대의 수많은 독자들을 끌어들이고 매혹시키고 그 주변을 계속해서 맴돌게 만들었다. 고뇌하고 방황하며 인생의 수수께끼를 풀고자 했던 사람들은 고전과 대화를 나누며 그...
추상적인 개념인 발상과 영감을 논리적인 이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나아가 나만의 발상법을 찾는 길을 제시하는 『발상』. 인류 발전의 원천이 되어 온 발상의 개념과 원리를 역사적, 과학적, 심리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며 혁신과 창작을 탄생시키는 발상의 원천을 샘솟게 하며, 발상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번뜩이는 발상은 무심코 지나쳤던 주변의 요소가 ...
패배로 이어지는 유년기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이 책은 개인 심리학의 창시자로 세계 3대 심리학자로 꼽히는 아들러의 실천적 핵심 이론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용기의 모든 것이 담겨있다. 『아들러 심리학 입문 플러스』는 『아들러 심리학 입문』을 확실하게 보강해 주는 책으로 학교와 교사 그리고 직업의 의미와 역할, 사랑과 결혼의 문제와 결단 등 우리가 실질적으로 맞부딪히며 고뇌할 수밖에 없는...
일본인이 가장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재 수학자 오카 기요시의 『수학자의 공부』. 천재 수학자의 학문과 인생에 관한 통찰을 담고 있는 이 책은 학문에 뜻을 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봤을 ‘공부의 본질’에 대한 천재 수학자 오카 기요시의 명쾌한 대답을 들을 수 있다.저자 오카 기요시는 다변수 함수론 분야 최대 난제인 ‘3대 문제’를 해결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수학자이다. 그러나 그는...
“보는 것에도 특별한 노력이 필요한가요?”엄정순이 답하다“나와 다름을 보는 것이 재미있다고 느낄 때 더 많은 세상을 볼 수 있습니다.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내가 본 것들이 결국 나이기 때문입니다.”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아우름 시리즈’의 서른 번째 주제는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이다.본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제대로 보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