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는 왜 작품마다 에로틱한 표현에 그토록 집착했을까? 프로이트는 왜 인간의 본질과 인류 발전의 원동력을 성 욕망에서 찾았을까? 유럽 사회 특히 독일의 19세기 후반은 사회구조, 정치체제, 경제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삶을 규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시기였고, 그로 인해 수세기 동안 독일인들에게 삶의 목적과 의미를 규정해주던 기독교라는 토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 급격한...
중앙대학교 철학과 맹주만 교수는 철학적 인간학, 생물철학, 정치철학, 종교철학 등에 관한 연구의 첫 걸음으로 『칸트의 윤리학』을 선보인다. 제1장에서 칸트의 윤리학을 전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윤리적 문제들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윤리학, 도덕형이상학, 실천철학을 살피며, 제3장에서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도덕적 관점을 살펴본다. 각 장에서 선의지와 정언명법, 도덕적 감정과 공감, 정치적 선,...
영국 뉴캐슬대학교 사회지리학과 교수 앨러스테어 보네트가 공식적인 지도상에 드러나지 않는 놀라운 장소들을 탐험하며 지리의 파편화를 살펴본다. 저자는 국경이 와해되고 새로운 지역주의가 탄생하는 중동 지역의 지리를 비롯해, 작디작은 고립지로 영토가 조각 나고, 새로운 섬들이 마구 솟아나고 있는 지구의 감춰진 구석구석을 기록한다. 탐험과 모험의 확고한 옹호자인 보네트는 언제 어디서 생겨나, 어떻게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방식으로 역사수업에 반란을 일으키고자 하는 교사들의 모임. 상상과 해석이 부족한 무채색의 수업에서 벗어나 관점이 있는 역사수업, 논쟁의 여지가 있는 역사수업, 대화가 있는 역사수업을 지향한다. 글쓴이 이윤미 이리동산초 김고운 전주송천초 김선경 함열초 김예지 이리동산초 김한라 전주신동초 박미영(a) 전주송천초 박미영(b) 전주신동초 서영환 전주신동초 송효승 이리동산...
우리는 왜 평등 사회로 나아가야 하는가? 창의력 강한 아이들이 만들어 갈 미래 한국의 정치, 사회, 교육 스웨덴에 있는 동안 강의나 연구, 업무를 넘나드는 나의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 사회 그리고 교육이었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크게 눈떠야 할 분야라고 생각했다. 단지 이론적인 공부만은 아니었다.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스웨덴 사회를 현장에서 내부로부터 꿰뚫어 보려고 노력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
메이지 이후 근대 일본의 과학기술은 군국주의 시대의 ‘고도국방국가 건설’이라는 국가목표, 패전 이후의 경제성장 지상주의를 충실히 뒷받침해왔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반성과 성찰 없이 달려온 일본 과학기술 정책이 빚어낸 참사였다. ’과학기술 총력전 체제’가 이끌어온 근대 일본 150년을 되돌아본다.
거의 반세기 이상을 제임스 조이스를 연구한 김종건 교수가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진단』을 선보이다. 김종건 교수는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의 문학적 진단을 끝으로 조이스의 오랜 탐구를 마무리한다. 제임스 조이스는 20-21세기, 모더니즘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양대 증언으로 칭하는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를 썼다.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