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세대에게 가장 적합한 번역과 고전 읽기의 현재적 의미를 충실히 구현한 해설로 ‘유교 사상의 안내자’ 역할을 톡톡히 해온 영산대 배병삼 교수가 『맹자』의 완역과 주석, 해설을 담은 『맹자, 마음의 정치학』을 펴냈다. 서양 정치학을 전공하다 어떤 목마름을 느껴 동양 고전으로 공부의 방향을 틀었던 배 교수는 30년 학문의 도정에서 늘 당대의 구체적인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 학자의 역할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눈을 뜨고 있는 동안, 우리는 무언가를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출근하면서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드라마를 본다. 심지어 해당 콘텐츠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원하지도 않은 CF를 봐야 하는 경우도 있다. 집에 돌아와서도 텔레비전 앞에 앉아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서 저녁을 먹는다. 혼밥을 해야 할 경우, 유튜브로 먹방을 틀어놓고 밥을 먹기도 한다. 다양한 디바이...
한글세대에게 가장 적합한 번역과 고전 읽기의 현재적 의미를 충실히 구현한 해설로 ‘유교 사상의 안내자’ 역할을 톡톡히 해온 영산대 배병삼 교수가 『맹자』의 완역과 주석, 해설을 담은 『맹자, 마음의 정치학』을 펴냈다. 서양 정치학을 전공하다 어떤 목마름을 느껴 동양 고전으로 공부의 방향을 틀었던 배 교수는 30년 학문의 도정에서 늘 당대의 구체적인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 학자의 역할이...
한글세대에게 가장 적합한 번역과 고전 읽기의 현재적 의미를 충실히 구현한 해설로 ‘유교 사상의 안내자’ 역할을 톡톡히 해온 영산대 배병삼 교수가 『맹자』의 완역과 주석, 해설을 담은 『맹자, 마음의 정치학』을 펴냈다. 서양 정치학을 전공하다 어떤 목마름을 느껴 동양 고전으로 공부의 방향을 틀었던 배 교수는 30년 학문의 도정에서 늘 당대의 구체적인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 학자의 역할이...
이 책 『푸코』에서 푸코는 질 들뢰즈를 통해 독창적으로 재탄생한다. 들뢰즈는 철학적 전통 속에서 푸코의 광범위한 저작들을 검토하면서 본격적으로 푸코를 다룬다. 이 책에서 들뢰즈는 푸코의 철학적 토대와 푸코의 주요 주제인 지식, 형벌, 권력 및 주체의 성격을 살펴보면서, 푸코 연구에 대한 결정적이고 생산적인 분석을 제시한다.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현대 프랑스 철학자인 질 들뢰즈와 미셀 ...
잘 쓴 글 하나, 수 억 마케팅 안 부럽다 누구나 공유하고 싶은 핵인싸 글쓰기! 블로그·포스트·유튜브·SNS… 요즘 플랫폼 세계는 철저히 ‘클릭 or 무시’다. 손끝의 간택을 받지 못하면 글 존재 이유가 없어진다. 뻔한 글쓰기책의 가르침, 그러니깐 두루뭉술하거나 무겁고 고상한 만연체로 이 세계에 뛰어들었다간? 그야말로 순삭이다. 이런 살벌한 세계에서는 클릭 받기 위한 글쓰기법이 절실하다. 주...
철학은 뭐고, 반철학은 또 뭐지? 철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편집자가 질문하고 저자가 설명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된 인터뷰를 글로 옮겨 잡지에 연재했다가 내용을 상당 부분 보충해서 출간했다. 원서의 제목은 ‘반철학입문’이지만,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서 시작하는 서양 철학의 역사 속에 반철학이 생겨난 연유를 풀어내어 서양 철학의 흐름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철학! 이의 있습니다 니체, 철학에 반기...
우리가 겪고 있는 심리 문제는, 결국 자신에 관한 숨겨진 진실을 알아낼 수 있는 실마리다. 그러니 우리는 이 감정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것은 어린 시절에 겪은 고통이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지경이 되어, 어린 내가 무의식 저편으로 숨겨버린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고통스런 감정에 무너지지 않기 위해 타고난, 놀라운 ‘적응 능력’을 발휘해 부모가 바라는 대로, 주변 환경에 맞춰 완벽하게 스스로를...
인간의 생각과 태도, 행동이 사회 환경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사회심리학자들은 일찍이 성격이나 기질보다는 ‘상황의 힘’에 주목했다. 사회적 상황의 특성에서 나는 차이가 사람들의 성격 특질에서 나는 차이보다 훨씬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적으로는 ‘착한 사람이니까 분명 남을 잘 도울 것이다’, ‘공격적인 아이가 늘 문제를 일으킨다’ 같은 고정관념이 깊게...
교사들은 매일 아침 이런 고민을 합니다. ‘오늘 수업은 뭘 해야 하지?’, ‘오늘 수업은 어떻게 하지?’ 등등을 고민하다 보면 어느덧 시계가 아침 9시를 가리킵니다. 결국 어제 했던 그 방식 그대로, 다시 수업하게 됩니다. 하루가 지나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잠깐 고민하다 어제 했던 수업을 그대로 할 때가 많습니다. 일주일이 지나고, 한 달이 지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책은 선생님들이 가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