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러운 관계 맺기의 시작, ‘경청’이라는 타인과의 적극적인 교감을 심리학의 관점으로 살펴본다. 누구보다 많은 이야기를, 다른 이의 아픔을 가장 가까이서 들어온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소장이 풀어놓은 귀 기울임에 대한 따뜻한 공부. 이 책은 우리가 늘 생활에서 마주치는 곤란한 대화, 어설픈 조언이나 충고를 짚고, 관계 맺기에 서툰 존재들에 대해 심리학으로 쉽고 명쾌하게 풀어낸다.
* 성격 차이가 아니다! 사람의 마음을 얻는 대화의 기술 처음 만난 사람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주저했던 적은 없나요? 상대와 말이 통하지 않아 정말로 답답했던 적은 없나요? 애인에게 무슨 말을 건네야 할지 고민했던 적은 없나요? 상사와 갈등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고 싶었던 적은 없나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는 어느 시인의 말처럼,...
여러분은 16세의 스웨덴 소녀 그레타 툰베리를 알고 있나요?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등교 거부를 하며 일인시위를 했고, 이 사실이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켜 유엔에서도 연설을 한 그 소녀 말이다. 이처럼 청소년도 지구의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기성세대의 무능을 비판하며 직접 나서기 시작한 것이다. 이번 세기에 들어 우리 생활에 급격한 기후 변화가 엄습했고, 빈부 격차는 ...
이달에 임금이 친히 28자 언문(諺文)을 지었으매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으로 나누어 합하고서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文字)와 이어(俚語)를 모두 쓸 수 있고, 비록 쉽고 간추린 글자이나 전환(轉換)이 무궁하니, 이를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일렀다. 『조선왕조실록』 102권, 세종 25년 (1443년) 12월 30일
[특징] 1. 최신 기출문제(44회~30회) 수록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 유형 파악 2. 정확하고 자세한 해설을 통해 기출문제 완벽 이해 3. 미니북 - ‘50테마 50문제 잡기’를 통해 문제에 대한 철저한 대비 가능 4. 기업체 및 공사공단의 한국사 시험 대비 가능
100년 전통 하버드대 찰스 엘리엇 노턴 강의 역사에 남은 명강을 책으로 읽다 미국 하버드대학에서는 해마다 저명한 예술가나 학자를 초청해 미술, 문학, 건축, 음악 등에 대한 이야기와 이론을 듣는 강연을 엽니다. '넓은 의미의 시학 강연'이라고도 불리는 이 '찰스 엘리엇 노턴 강연'은 움베르토 에코, 레너드 번스타인, 토니 모리슨,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등이 강단에 섰던 유서 깊은 강연으로...
“인생에서 가장 미칠 것 같았던 시기에 뇌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았다면 그토록 괴롭진 않았을 텐데.” 오늘도 무참히 감정에 휘둘리는 나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 아이에서 소녀, 소녀에서 여자, 그리고 노년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단계마다 여자의 뇌가 벌이는 일들에 대하여 ‘여자들은 왜 화장실에 같이 들어갈까?’, ‘사춘기 소녀들이 밤새 전화기를 붙잡고 있는 이유는 뭘까?’, ‘어째서 여자들은 남...
2011년, 2013년에 연속 출간되어 좋은 반응을 얻은 《우리 산하에 인문학을 입히다》 1, 2권 이후 7년 만에 돌아온 후속편. 강원도를 배경으로 전작들을 낸 저자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직접 발로 뛰어 조사하고 각종 기록을 살핀 끝에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세 번째 책 《우리 산하에 인문학을 입히다: 이야기 길 따라 걷는 시간 여행》을 출간했다. 경기도는 조선시대 이후 600여 년 넘게...
첫 심근경색이 크리스마스처럼 다가오는 사내들, 헌신과 의무, 지켜야 하는 규칙에 무력하게 얽매여, 한때 삶을 달콤하게 해줬던 모든 것으로부터 버림받은 채 어둠이 내리는 늙음과 무능력의 거리로 흘러들어가는 사내들. _필립 라킨Philip Larkin 남성에게 드리운 자기소외와 억압의 그림자 한 사람의 남성으로 정의되는 데 필요한 것들, 즉 남성이라는 역할과 기대, 경쟁과 적개심, 자질이나 역량...
이 책에는 에스페란토 창안자 자멘호프의 사상의 정수를 담은 연설문과 논문, 서신들이 수록되어 있다. 『인류에게 공통의 언어가 있다면』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내려줄 것이다. 폴란드의 안과의사 자멘호프가 1887년에 에스페란토를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자멘호프는 어떤 생각을 가진 사상가였을까? 창안 당시의 에스페란토 활동은 어떤 양상을 띠었을까? 창안된 지 13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