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를 들어 별을 바라보세요. 발밑만 쳐다보지 말고.” 휠체어 위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남긴 말이다. 호킹 박사가 지적했듯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늘이나 지구 너머 우주에서 일어나는 일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별이라든가 태양계라든가 블랙홀이 있다는 우주의 세계는 그야말로 우주만큼 멀리 떨어진 곳이고, 스티븐 호킹까진 못 가더라도 최소 박학다식한 지식인들만 범접...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은 늘 손에 들고 다니며 텃밭 농사를 자기 손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농사짓기 쉬워 보여도 언제 심고, 언제 거두는지 늘 신경이 쓰여요. 또 어떻게 심고, 물을 얼마나 주는지, 거름은 언제 주는지, 어떤 병에 걸리고, 어떤 벌레가 날아오는지 궁금하지요. 《곡식 채소 나들이도감》은 언제 심고, 어떻게 가꾸고, 언제 어떻게 거두고 갈무리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나비 나들이도감》을 들고 우리 나비를 찾아봐요. 우리 둘레를 날아다니는 나비 몇 종이나 알고 있나요? 호랑나비, 배추흰나비, 노랑나비는 쉽게 알 수 있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나비가 200종이 넘게 산답니다. 호랑나비와 산호랑나비, 배추흰나비와 대만흰나비는 생김새가 비슷해서 헷갈리지요. 《나비 나들이도감》을 늘 손에 들고 다니면 우리 둘레에 어떤 나비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꾸 보...
여자친구가 정말 나를 좋아하는지 판단할 수 있을까? 메일을 일반 메일과 스팸 메일로 어떻게 구분하는 걸까? 《베이즈 통계학》에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있다. 베이즈 통계학은 표본에서 얻은 정보에 사전지식 등 여러 정보를 포함시켜 사후확률을 결정하는 통계학으로, 과거의 통계학과는 달리 유연성과 융통성이 있어서 여러 분야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제품을 관리하거나 소비자 동향을 파악할 ...
‘요즘 공대생’의 마음을 훔친 ‘과학 고전’ 18권을 소개하는 가이드북! 과학은 수식과 이론이 가득하고 첨단을 달리는 분야인데,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 전에 쓰인 과학 고전들이 공대생의 마음을 사로잡은 이유는 무엇일까? 과학 고전 속엔 과학자들의 인간미 넘치는 이야기부터 지금의 이 세계를 만든 거대한 발견의 순간까지 지금껏 빛을 보지 못한 원석 같은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다. 과학 ...
취미로 수학을 다시 공부해 보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성인들을 위한 책이 출간되었다. 《하루 한 문제 취미 수학》는 중학생 정도의 수학 실력이면 풀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어, 수학에 관심 있는 성인들이 가볍게 도전하기 좋다. 어려운 이론이나 복잡한 공식이 아니라, ‘수학적 관찰력’과 ‘사칙연산’이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하루 한 문제씩 수학 문제...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인공지능을 만날 수 있을까?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이제 더 이상 생소하거나 신기한 개념이 아니다. ‘시리’나 ‘빅스비’ 같은 우리에게 친숙한 스마트폰 인공지능 비서를 비롯해 음성 인식 스피커나 에어컨 등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기기들이 일상 곳곳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미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가 인간 ...
서울대학교 화학과 (이학사) 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물리학으로 이학석사와 화학물리학으로 이학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국왕립화학회 펠로우, 국제 학술지 PCCP 편집장 및 편집 이사회 의장,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및 KAOS 과학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번져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우리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일으키는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는 현재로서는 마땅한 백신이 없는 무시무시한 존재다. 아프리카의 가축용 돼지에서 시작되어 현재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이 바이러스를 뉴스로 접하다 보면 모든 바이러스가 이렇듯 생명체를 위협하는 존재처럼 느껴진다. 그런데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
우리 대부분은 위대한 과학자인 찰스 다윈(1809∼1882)을 생물학자로 알고 있다. 그의 대표 저술인 『종의 기원』이 종의 진화에 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지질학자였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찾아 갔던 곳에서 관찰한 기록 중 동물들에 대한 것은 368쪽인 데 비해 지질현상에 관한 것은 1,383쪽이 될 정도로 지질현상에 대한 기록이 훨씬 많다. 나아가 『종의 기원』 9장 「지질...
15~16세기 유럽 사회는 동전과 총포를 만드는 구리, 주석, 납, 철, 은, 금 같은 금속의 수요가 급증했고, 더불어 여러 금속들을 제련하는 원료인 석탄의 수요도 급증했다. 이런 이유로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유럽 사회는 광산 개발의 열풍이 불었다. 그와 함께 광업이나 광물학과 관련한 기술적 진보도 두드러졌다. 갱도를 파고 지지하는 기술, 밧줄이나 쇠사슬을 감았다 풀었다 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