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부터 지금까지, 동물과 인간이 함께한 역사를 한눈에 살펴보는 교양만화! 늑대는 인간의 적응력을 어떻게 향상시켰을까? 당나귀는 최초의 국제화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말이 없었다면 정복과 제국의 역사가 가능했을까? 《만화로 배우는 동물의 역사》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류 역사를 살펴보는 교양만화다. 인간이 동물의 편에 서서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바라본다면 어떨까? 때로는 거시...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물리 열전 하』는 총 4부, 23장으로 구성됐다. 1부는 양자 기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 2부는 원자 이하 수준에서 물질을 연구하는 과학자들, 3부는 물질의 다양한 상태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4부는 난제로 꼽히는 핵융합 기술과 생물학과 융합한 과학자들을 만나 인터뷰했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사과파이를 만들려면 먼저 우주를 만들어야 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에서 칼 세이건이 한 말이다. 이 책의 저자 해리 클리프는 이 말대로 궁극적인 사과파이 조리법을 알기 위해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매혹적인 탐험을 떠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입자연구소 CERN에서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를 찾고, 거대한 지하실험실인 그랑사소 연구소에...
머리말(그레타 툰베리) 5 / 들어가며(요한 록스트룀, 오웬 가프니) 13 행동 규범 I / 1장 현재의 지구를 만든 3가지 혁명 29 / 2장 지구의 변화를 일으킨 사건들 51 / 3장 ‘슬기로운 사람’이 나타났다 63 / 4장 골디락스 시대 75 행동 규범 II / 5장 3개의 과학적 통찰 103 / 6장 지구 위험 한계선 117 / 7장 찜통 지구 141 / 8장 기후 비상 사태 선언 ...
● 신경정신과 교수이며 의학박사인 저자가 인간의 마음과 깊은 관련이 있는 뇌 신경전달물질과 뇌의 구조와 기능, 정신 질환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을 자세히 소개하는 정신의학 입문서이다. ● 현대인들이 앓고 있는 대표적인 정신 질환인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정신분열병 등은 감기나 소화불량처럼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아주 흔한 질병이며 모든 질병에는 적절한 치료법이 있듯이 이들 마음의 병...
● 저자 요시다 구니히사는 일본에서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이다. 이 책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철저히 해부한다. 유전자와 DNA, 인간게놈프로젝트와 그 후의 이야기, 남자와 여자의 차이, 뇌와 마음, 인간의 발생과 복제인간, 질병과 건강, 식생활 문화의 변화, 인체의 균형과 조절 시스템, 노화와 죽음, 인간이 지구에 저지른 일들을 생물학적으로 해부한다. ● 이 책의 ...
여는 글: 우리가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 1부 수학으로 몸 풀기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할까? │ 간단한 계산에도 다양한 해법이? │ 숫자를 가지고 노는 창의적인 계산법 │ 학교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곱셈법 │ 수의 묶음으로 이해하는 진법 │ 넓이 문제를 푸는 색다른 사고 │ 도형을 해부하며 공간 감각을 키우자 │ 자르고 모으면서 도형과 친해지자 │ 삼각형으로 배우는 수학의 기초 2부 수학으로 생...
오랫동안 지속된 ‘나비 찾아 떠난 여행’의 종착점이 보이는듯 하다. 여행길은 떠날 때마다 설레고 기대감으로 가득했다. 되돌아보면 나는 나비 찾아 숲으로 떠나 그곳에서 얻은 소재로 책을 역어 내는 일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처음 낸 책은 《원색한국나비도감》(교학사 2002)이다. 이 도감은 후에 3판으로 개정증보판(2010)을 출판했는데 지금도 나비를 연구하는 분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리...
양자중력 연구의 권위자, 페리미터 이론물리학연구소의 창립 멤버이자 수석교수, 카를로 로벨리가 인정하는 ‘맞수’ 리 스몰린이 쓴 《리 스몰린의 시간의 물리학》이 출간되었다. 《Time Reborn(시간의 재탄생)》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원서는 2013년 출간된 이래로 현대 물리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간에 대한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 여겨져왔으며, 시간의 물리학에 ...
하루 일과를 바쁘게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나의 뇌가 멈추어 있는 기분이 든다. 또 기억력이나 사고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들어 걱정스러워지기도 한다. 남들은 계속 앞으로 나아가며 발전하는 것 같은데 반대로 나는 점점 생각이 단순지고 뒤쳐지는 기분이 들 때도 있다. 사람은 모두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방법도 다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문제 해결 능력을 다양하게 ...
그림으로 지구과학의 개념을 배운다 하늘과 바다, 그리고 풍요로운 대지가 있는 생명의 행성 ‘지구’. 우리 인간이 생활하는 지구와 우주의 활발한 변동에 대해 배우는 것이 ‘지구과학’이다. 21세기가 되어 환경 문제와 자원 에너지 문제, 기록적으로 지속되는 비, 초 대형 태풍 같은 엄청난 자연 재해 등 지구 환경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주목 받으면서, 그 어느 때보다 지구과학 지식이 필요해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