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고 두렵지만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우주우주여행에 나선 보통사람의 아주 특별한 여행기그야말로 ‘우주 홀릭’인 저자가 직접 우주여행을 떠났다는 가정하에각종 자료를 토대로 현실감 넘치는 우주여행기를 풀어냈다.평범한 우주여행자의 첫 번째 여행 에세이멀고 먼 우주가 한층 가깝게 느껴질 것이다!
7가지 놀라운 과학의 발견이전 세계에 미친 영향과 그 결과들정말 비타민은 만병통치약에 가까운 걸까? 감기를 낫게 하고 암을 예방하며 인간의 몸을 건강하게 하는 1등공신인 것일까?인간 우성학이 불러온 인종 청소, DDT의 금지가 가져온 모기의 부활과 어린아이들의 죽음, 암의 조기발견의 결과 그리고 인류를 기아로부터 구원한 질소비료의 배신 등 과학적 발견이라고 포장되었지만 실제로는 인류의 건강 ...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의 저자 스티븐 핑커 추천!<월스트리트저널>, , <뉴욕 타임스> 격찬!“음악적 재능은 타고날까, 아니면 만들어질까?”“나이에 상관없이 악기에 도전할 수 있을까?”“나 같은 음치, 박치도 악기를 배울 수 있을까?”선천적 박자불능 뇌과학자, 악기 배우기에 도전하다!저명한 인지심리학자지만 음악적 재능이 전혀 없는 개리 마커스는 마...
인간에게 가장 관심 있는 대상은 자신이다. 지구 밖을 벗어나 한 걸음 내딛기도 어려운 존재이면서도 ‘우주의 중심에 내가 있다’는 편견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것이 인간이다. 우리의 고통은 바로 이러한 ‘세상의 중심은 나’라는 착각에서부터 시작된다.이 책에서는 과학과 불교의 접점에서 인간 세계를 고민한다. 불교도, 과학도 자기 중심의 세계관을 부정한다. 두 영역의 진리는 스스로의 힘으로 편견이라는...
일본 수면 연구 일인자가 밝히는 잠의 모든 것뇌의 각성을 일으키는 물질 ‘오렉신’을 발견하여 수면과학을 한 단계 발전시킨 일본의 수면 분야 최고 권위자가 수면의 생리학적 특성과 메커니즘, 꿈의 원리에 이르기까지 잠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소개한 과학서가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수면의 과학’은 아직 미완의 학문이며 아직 밝혀내야 할 문제도 많다. “왜 잠을 자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생명을 만드는 정밀한 장치 ‘세포’의 모든 것을 들여다본다우리의 몸은 약 37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세포는 인간이 만든 그 어떤 물건보다도 정밀한 시스템으로 움직인다. 그 세포 하나하나가 모여 장기를 이루고, 장기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생명이 유지된다. 이렇듯 세포는 우리 몸의 근원이다. 그렇다면 세포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으며 어떤 메커니즘으로 움직이고...
우주와 음악의 숨은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하는물리학 교수이자 재즈 음악가의 자전적 이야기NPR 선정 올해의 책《뉴욕 타임스》 《뉴 사이언티스트》 추천 도서물리학자이자 재즈 음악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우주의 음악’ 또는 ‘음악적 우주musical cosmos’에 관한 탐색을 시도한다. 음악과 우주 사이의 관련성을 간파한 위대한 인물들, 즉 피타고라스, 케플러, 뉴턴, ...
생물학 연구 발전의 토대이자 단서인 초파리 연구에 대해 알아본다!음식이 상해갈 때면 어김없이 어딘가에서 나타나 주변을 윙윙 날아다니는 초파리들을 우리는 흔히 보곤 한다. 이렇게 하릴없이 맴돌고 있는 초파리가 생물학 및 유전학의 엄청난 발전을 일궈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모른다. 그 작고 보잘것없는 생물인 초파리 연구를 통해서 실로 무수히 많은 새로운 사실들이, 그것도 “최초로” 밝혀진 것들이...
출간 후 6개월 만에 19개 언어로 판권 계약!모두가 겪었지만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그 시절 이야기첫 세포에서 첫 호흡까지, 하나의 세포는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인간이 되는지, 임신·출산 대백과에는 나오지 않는 인간 탄생의 경이로운 과정을 단순하면서도 정확한 그림과 함께 생물학적으로 쉽게 풀어 쓴 책. 노르웨이의 세포생물학자 카타리나 베스트레는 엄마 뱃속에서 커가는 어...
‘물리’라는 과학의 언어를 통해 세계를 읽고 생각하는 또 다른 방법을 안내하는 『떨림과 울림』. 빛, 시공간, 원자, 전자부터 최소작용의 원리, 카오스, 엔트로피, 양자역학, 단진동까지 물리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들을 차분히 소개하면서 물리라는 새로운 언어를 통해 우리 존재와 삶, 죽음의 문제부터 타자와의 관계, 세계에 관한 생각까지 새로운 틀에서 바라볼 수 있게 안내한다.우리의 몸과 마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