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숙 시에서 “문장”은 생의 행로와 같으며, “행간”은 존재의 균열이 발생하는 틈이며, “미간”이나 “안색”은 고독한 일상의 형편을 표상하고, “인중”에 새겨진 시간은 운명적인 힘이다. 홑겹으로 맑고 투명하게 널어놓은 이미지들 속에서 백지처럼 얇아진 배후의 세계가 얼비치며 내색한다. 이때 유한자로서 겪는 상실감과 좌절들은 사적 영역을 넘어서 관계적 질서를 불러오는데, 이를 통해 슬픔은 심미...
일 잘하는 언니들의 이야기를 찾아 어디든 달려가 스포트라이트를 비춘다. 책 제목이 그대로 현실이 되는 증거인 《돈을 사랑한 편집자들》은 어쩌면 모든 독자가 가장 읽고 싶은 형태의 책. 누적 판매 100만 부 베스트셀러를 만들어온 두 사람은 연봉 1800만 원을 받던 시절에 처음 만나 함께 일하고 의지하며 서로의 연봉과 성과가 수직 상승하는 동력이 되어주었다. 특히 재테크 책을 만들면서 실전 ...
멀쩡하게 흘러가던 상황이 내 앞에서 꼬이고, 딱히 문제없는 일도 내 앞에서 엎어진다. 남들은 다 잘나가는데 나만 제자리인 것 같다는 자괴감에 수시로 자기 학대를 한다. 도무지 이유를 알 수 없어 점집 혹은 철학관을 드나들기도 하지만, 누구 하나 시원한 해결책을 던져주지 못한다. 왜? 자기 인생이 아니니까! 이 책은 숱하게 만나는 절망의 순간들 앞에서 공감하고 위로해준다. 그리고 말한다. 당신...
죽음을 어찌 준비해야 하는지 알고 싶었다. 유품만 봐도 고인의 성격, 성향을 알 수 있다는 그라면 대답이 가능할 것 같았다. 그리고 마침내 이 책에서 그 답을 들었다. 그의 말대로 생의 마지막 순간, 누군가에게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고 싶다. -강원국(작가,《대통령의 글쓰기》 저자) 대한민국에 체계적인 ‘유품정리’ 서비스를 소개하며, 15년째 죽음의 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저자 김석중. 그가...
용감하게 시작해본다. 나 비건 되어야겠어! 손은경 작가는 어느 날 한 책을 만나게 된다. 존 맥두걸 박사의 《어느 채식의사의 고백》. 이 책을 만나 우리가 당연히 여기던 잡식에 대한 상식에 의문을 품게 된다. 그리하여 차근차근 책과 신문, 다큐멘터리 등을 찾아보고 깨달음을 얻게 된다. 작가가 운동하면서 근육을 얻으려고 꼬박꼬박 챙겨 먹었던 닭가슴살과 고기들이 오히려 건강을 더 해치고 있었음을...
인생을 완전히 바꿔놓은 ‘그냥 하기’의 힘! 평범한 맞벌이 부부로 살았다. 첫 아기가 태어났고, 둘째도 태어났다. 둘 중 한 명은 전업주부로 집에서 육아와 가사를 맡아야 했다. 긴 논의 끝에 부인이 밖에 나가 일을 하고 남편이 주부가 되었다. 두 아이를 기르는 일은 매일 매시간이 전쟁의 연속이었다. 밤과 낮의 구분이 사라졌고, 단 한순간도 마음을 놓을 수 없었다. 그에 비해 행복감과 아빠로서...
사는 건 전쟁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그 싸움에서 살아남기 위해 많은 이들이 마음속에 칼을 품고 살아간다. 갖고 싶은 것을 얻기 위해, 남들보다 더 많은 것을 차지하기 위해 쉬지 않고 달리는 사람들. 날마다 우리가 곁을 스쳐 가는 풍경과 작은 새의 울음을 놓치고 있는 건 쫓고 쫓기는 삶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인생이란 파도를 헤쳐 나가기 위해 오늘도 고군분투 중인 ...
문학동네시인선 171번 시집으로 서효인 시인의 네번째 시집을 펴낸다.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들을 경유하는 시간에 대해 쓴 시편들의 모음 『여수』로 대산문학상과 천상병시문학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신뢰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진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입증한 이후 5년 만에 발표하는 신작 시집이다. 첫 시집 『소년 파르티잔 행동 지침』에서 분노를 통해 도시의 들끓는 삶을 생생히 그려내고, 김수영문학상을 수...
봉사, 우리는 그저 남을 돕는 작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누구도 할 수 있는 작은 일을 아무도 하지 않는다. 또 쉽사리 하지 않는다. 이 책의 저자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봉사를 시작하였다. 아이스크림을 팔아 후배에게 크레파스와 운동화를 사주었고, 다친 친구들을 찾아다니며 상처를 치료해주었다. 1987년 취업을 하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시인의 말 제1부 흰 동백 고요를 응시하다 푸른 꽃, 푸른 물 한 입 홍매화 완성 소요유 녹색의 그늘 흰 동백 겨울 숲 방하착 석굴암 가을 수채화 햇살 채식 수행자 중악단의 여름 이국의 손님, 구무나무 말없음표처럼 억새 바람의 길은 자유롭다 베이든지 젖든지 제2부 기억의 창고 여럿이면서 혼자 겨울 강에서 봄날, 하루해 하늘거울 청방지축 갈빛 흔들림 꽃바다에서 다시 넝쿨장미 배롱나무 길 기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