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주의를 사로잡아 판매하고자 끊임없이 진화한 광고 산업을 낱낱이 파헤친다. 많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 TV에 정신을 빼앗기고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며, 각자의 목적에 도움이 되는 이상으로 광고를 소비한다. 또한 광고 산업은 신문, 잡지에서 라디오, TV를 거쳐 PC, 스마트폰으로 매체가 달라짐에 따라 늘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의 주의력을 확보해 기업, 정부 등에 팔아넘겨왔다. 중요한 ...
『당신은 정의로운 사람입니다』는 노회찬 의원 1주기 추모집이다. 제1장은 월간 『인물과사상』에서 진행한 노회찬 의원과의 인터뷰 모음이다. ‘노회찬과 삼성 X파일’은 2013년 4월호, ‘노회찬과 노무현’은 2009년 7월호, ‘노회찬과 진보정치’는 2005년 6월호에 실린 인터뷰다. 제2장은 강수돌 고려대학교 교수, 우석훈 경제학자, 김종대 정의당 국회의원이 노회찬 의원을 회고하며 쓴 글을 ...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하다” - 모두가 알고 있지만 정치인이라면 부정하는 것 오늘날의 유권자라면, 모두들 감세를 환영한다. 복지에 대한 담론이 선거를 휩쓴 이후, 우리는 자신을 유권자라기보다는 납세자라 생각하는 일이 많아졌고, 자신의 세금이 ‘세금조차 내지 않은 사람들’에게 돌아가거나 무의미한 일에 쓰인다며 분개한다. 언론에서는 수시로 부정수급자를 고발하고, 복지 수당을 받아 유흥비로 탕...
“이제 우리, 인종 이야기를 시작해볼까요?” 내 안에 공존하는 소수자성과 특권의식을 들여다보게 하는 지침서 “당신, 한국말 정말 잘하네요.” 생김새나 피부색이 다른 사람이 한국말을 유창하게 할 때 우리는 이렇게 말하곤 한다. 그런데 이게 인종차별적인 말이라고? 비하는커녕 칭찬인데, 대체 왜? 이제 우리도 인종을 이야기할 때가 되었다. 핵심은 ‘다름’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의 문제다. 미국의 주...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복지국가, 노동시장 및 자산 불평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복지국가와 불평등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2005). 유타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2005~08),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2008~13),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방문교수(2013)로 재직했다. 2013년 시카고대학교에서 종신교수로 임명된 후 동대학에서 2017년까지 근무...
《긍정의 배신》 《노동의 배신》 《희망의 배신》으로 긍정 이데올로기, 저임 노동, 화이트칼라 몰락 등 현대 사회의 병폐를 고발해 주목받았던 바버라 에런라이크가 현대인의 새로운 풍속이 된 ‘건강 열풍’의 숨은 진실을 폭로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로 우리를 안내한다. 오늘날 우리는 자신을 잘 절제하고 생활방식만 잘 관리하면 더 젊고, 더 건강하고,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약속하는 시대를 ...
손 안에 쏙, 언제 어디서든 이 한 권이면 나도 총(Gun) 박사 한 해에 수십만 명의 젊은이들이 병역 의무를 수행하며 총을 사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온라인 게임 등을 통해 여러 종류의 총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총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총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데 반해 관련 자료를 손쉽게 접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그동안 다양한 총에 대해 ...
혐오와 차별은 잡초처럼 자란다. 조금만 신경 쓰지 않으면 온 사회에 무성해진다. 사람들은 때로 아주 작은 차별은 무시해도 되고, 심지어 다수에게 유리한 차별은 합리적인 차등이라고 이야기하며, 차별에 대한 문제제기나 시정조치를 역차별이라고 공격하기도 한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심각한 혐오주의자나 차별주의자가 아니다. 바로 나, 당신, 우리일 수 있다. 평범한 우리 모두가 ‘선량한 차별주의...
*NIW 영주권이란? 투자비용·고용주 등 다른 요건 없이 오직 개인 능력 증명으로 받는 비자다. 개인의 활동이 미국 국익에 도움된다고 판단하면 미국이민국에서 승인한다. 영구영주권인 것이 특징이다. 지독한 미세먼지, 입시·취업 전쟁, 대내외 정치 문제…. 이민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이내 ‘무슨 이민이냐. 참고 살아야지’ 하고 만다. 보통 어마어마한 돈을 내는 투자이민, 외국인과의 혼인이민...